지원정책

2024 최저임금, 실수령액 계산기

밥언니 직업탐구 2023. 11. 16. 22:57

2024년의 최저임금은 2023년 대비 2.5% 증가하였습니다. 오늘은 2024년 최저임금은 얼마이고 바뀐 최저임금에 따른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정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024 최저임금 실수령액 썸네일
2024 최저임금

2024 최저임금

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9,860원입니다. 작년에 비새 2.5%로 소폭 상승한 모습으로 2024년에도 최저 임금은 만원을 넘기지 못한 모습을 보입니다.

 

 

연도 최저임금 인상률 월급
2024년 9,860원 2.5% 2,060,740원
2023년 9,620원 5.0% 2,010,580원
2022년 9,160원 5.0% 1,914,440원
2021년 8,720원 1.5% 1,882,480원
2020년 8,590원 2.9% 1,795,310원

 

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월급을 살펴보면 23년도보다 대략 5만 원 정도 인상되었습니다.

실수령액

주 5일,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근무를 진행하고 있는 근로자라면 24년부터는 최소 2,060,740원의 월급을 받게 됩니다. 여기서 소득세와 4대 보험료를 제외하면 약 186만 원 정도의 실수령액을 받게 됩니다.

제외되는 세금

  • 국민연금: 4.5% 부과
  • 건강보험: 3.6% 부과
  • 고용보험: 0.9% 부과
  • 소득세: 6~45% 부과
  • 주민세: 소득세의 10% 부과

만약 여기에 주휴수당, 연차수당, 야근수당, 연장수당 등의 변동적인 사항이 적용되면 실수령액은 더 높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. 변경된 최저임금 기준을 참고하셔서 착오 없이 월급을 계산하시기 바랍니다.

최저임금 계산기

최저임금 계산을 해볼 때 보통 네이버 계산기나,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많이 사용합니다. 아래 있으니 본인의 근로시간에 맞게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

 

주휴수당 계산법, 미지급 신고 방법

2023년 주휴수당의 지급기준과 계산법 그리고 미지급 시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시간에 빠지지 않고 근로한 자에게 주 1회의 휴일을 돈으로 주

ayanawonyoung.com

 

 

재직증명서 발급방법

재직증명서는 회사에 재직 중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. 재직증명서를 발급받을 때에는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셔야 합니다. 보통 1~2일 정도의 발급기간이 있습니다. 재직증명

ayanawonyoung.com

 

 

국민연금 납부액, 예상수령액 조회하기

국민연금은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연금제도입니다. 국민연금의 납부액과 예상수령액을 조회해 보시면 연금 수급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조회 방

ayanawonyoung.com

 

 

2024 주거급여 지원

중위소득 47% 이하의 저소득층에게 안정적인 주거 생활을 위한 주거급여가 지원됩니다. 아래 포스팅에서는 주거급여란 무엇인지 알아보고, 지원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주거급여

ayanawonyoung.com